🏃‍♀️ Do it !/TIL

    객체지향 / prototype /JSON / font

    객체지향 / prototype /JSON / font

    2022 / 8 / 10 수 객체지향 prototype JSON font ✔ 객체지향 new 연산자 : heap에 object를 할당하고 object의 ref값을 리턴하는 연산자 const a = new date(); 생성자 : object를 초기화하는 function 1. 기본 생성자 ( default constructor ) - parameter X, js에서 기본 제공, 자동호출 2. 비기본 생성자 ( overloaded construstor) - parameter O, 기본제공이 아닐 수도 있다! (function(){ const today = new Date(); // date (초기화할 값 넣어줘야해) console.log(today.getMonth()); // 7 : 8월을 의미 / 0이 1..

  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
  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
    2022 / 8 / 9 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코끼리는 코가 길다 /성격이 온순하다 / 귀가 크다 와 같은 코끼리 특성과 같이 구조화 프로그래밍과 비교했을 때 객체지향의 특성에는 추상화와 캡슐화가 있다. 우리의 목표는 Real world에 있는 object를 computing의 object로 만드는 것. Real world object = 환자 computing object = Data - 1. 환자의 반드시 필요한 data 2. 객체 지향 설계에 부합되는 data Function - 3. method 추상화 :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? 환자의 반드시 필요한 data / 객체 지향 설계에 부합되는 data 캡슐화 : 환자의 반드시 필요한 data / 객체 지향 설계에 부합되는 dat..

    forEach / map / filter / Arrow / 즉시호출 / time

    forEach / map / filter / Arrow / 즉시호출 / time

    2022 / 8 / 8 월 callback - forEach map filter Arrow 즉시호출 (임시객체) time 지난주 복습 1. 가변 파라미터 나머지 파라미터 로직이 비슷한데 파라미터 길이만 변동될 때 사용한다. (...)이 중요한게 아니라 언제 사용하는지 아는게 중요하다! 2. 디폴트 파라미터 대부분이 동일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때 예를 들어 시급 같은 거 한 번에 사용하기 위해 사용한다. 생략이 가능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과도하게 사용하면 가독성 저하 3. 전개연산자 callback-function CBF는 사용용도가 정해져 있다. 배열의 foreach() map() fillter() 주목해야 할 점은 어떻게 쓰지에 집중하지 말고, 함수들을 언제 사용하고 왜 !! 필요한지 아는 것이 (스토리..

    함수의 메모리 적재 / 가변 파라미터 / 전개 연산자 / 디폴트 파라미터 / Callback / forEach

    함수의 메모리 적재 / 가변 파라미터 / 전개 연산자 / 디폴트 파라미터 / Callback / forEach

    2022 / 08 / 05 금 함수의 메모리 적재 (함수가 호출되는 과정) 가변 파라미터 전개 연산자 디폴트 파라미터 Callback forEach ✔️ 함수의 메모리 적재 ⚙️ 빨간색을 파란색에 넣는다 빨간색은 Instruction -set 과 data로 구분 가능하며, 이 두 가지는 메모리에 들어가야 실행할 수 있다. // 자바스크립트에서 호이스팅(hoisting)이란. 인터프리터가 변수와 함수의 메모리 공간을 선언 전에 미리 할당하는 것의 의미 함수를 두개로 나누어서 생각해라! - 함수의 instruction - set : Global영역에 들어가며 -> function object (data라 볼 수 있음) 형태로 들어간다. - DATA : stack영역에 들어가며 -> EC ( exeution ..

    메모리 모델 / 디버거 / 디버깅

    메모리 모델 / 디버거 / 디버깅

    2022 / 08 / 04 목 메모리 맵 / 메모리 모델 디버거 debugger ✔️ 메모리 모델 함수가 실질적으로 움직이는 방법 메모리를 잡는 구조는 cpu /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다. 내가 짠 프로그래밍의 함수는 상단 그림처럼 움직이게 된다. 메모리 맵 ( memory map ) , 메모리 모델에는 Globla Area, Heap Area, Stack Area 세 영역이 있으며, 각 영역마다 갖고 있는 성격이 다르다. 1 . Globla Area (전역영역) 프로그램이 시작할때부터 끝날때까지 모든 곳에서 유효한 접근이 가능하다. 즉 어디에서나 접근이 가능하다. 전역영역에는 함수의 명령어 집합 ( instruction set ) 과 전역영역에 선언한 변수들이 들어간다. 2 . Heap Area dat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