📓 TechNote/Spring
[Spring] Model
Model 스프링 MVC는 모델이라는 데이터를 JSP에 전달해야한다. Model은 addAttribute( ) 메소드를 사용하여 뷰에 전달할 이름과 값을 지정가능하다. 👉 listController @GetMapping("/list") public void list(Model model){ log.ingo("list....") model.addAttibute("message", "hello world"); } 👉 list.jsp ${message} 🔔 Model에 담긴 데이터는 HttpServletRequest의 setAttribute()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에 jsp에서 바로 사용가능하다. ➕ @ModelAttribute 1. 파라미터로 DTO를 받는 경우 jsp에서는 별도의 처리없이 ${listD..
![[Spring] RedirectAttributes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xQ9jK%2Fbtr3eWm2cKw%2FARh3MesG4lkKZOv6YTfxJK%2Fimg.png)
[Spring] RedirectAttributes
PRG 패턴이란? - POST방식으로 어떤 처리를 하고 Redirect하여 GET방식으로 특정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패턴 스프링MVC에서는 PRG패턴을 위해 RedirectAttributes 타입을 제공한다. addAttribute( 키, 값) - 리다이렉트할때 쿼리 스트링이 되는 값을 지정 - URL에 쿼리 스트링으로 추가된다. addFlashAttribute( 키, 값 ) - 일회용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삭제되는 값을 지정 - URL에 보이지는 않지만 JSP에서 일회용으로 사용가능 ✔ RedirectAttributes 예시 👉testcontroller @GetMapping("/test01") public String test01(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) { ..
[Spring] 스프링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
👉 컨트롤러 선언부에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@Controller : 스프링 빈 처리를 명시 @RestController : REST방식의 처리를 위한 컨트롤러임을 명시 @RequstMapping :특정한 URL 패턴에 맞는 컨트롤리인지를 명시 👉 메소드 선언부에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@GetMapping @PostMapping @PutMapping @DeleteMapping @RequstMapping : GET/POST 두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 사용 @ResponseBody : 주로 비동기처리시 사용 👉 메소드 파라미터에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@RequstParam : Request에 있는 특정한 이름의 데이터를 파라미터로 받아 처리하는 경우 사용 @PathVariable : URL 경로의 일부를 변수로..
![[Spring] UUID란 ?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UcYPp%2Fbtr1QyBEpSn%2FOsvKFHrxrD4yqLIkvNWQz1%2Fimg.png)
[Spring] UUID란 ?
UUID란 무엇일까? UUID (Universally Unique Identifier) 는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성이 보장되는 ID를 만들기 위한 표준 규약으로 주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범용 고유 식별자이다. 범용 고유 식별자? - 소프트웨어 구축에 쓰이는 식별자 표준이다 [ 출처 : 위키백과 ] UUID는 언제 쓰이는 걸까? - 테이블의 키값이나, 파일 업로드시 임시 파일명 등으로 사용된다. 👉 UUID 패턴의 예시 550e8400-e29b-41d4-a716-446655440000 👉 UUID 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 예시
![[Spring] @Param은 언제쓰는걸까?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Q8xmd%2Fbtr1UURIldV%2Fsd9wF26kUYljDb3kw1zJZk%2Fimg.png)
[Spring] @Param은 언제쓰는걸까?
SQL 문장에 다수의 파라미터값을 전달할경우 @Param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, 각 파라미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. (하나의 파라미터값을 전달한다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) @Param 예시 👉 mapper.xml 👉 mapper interfac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