버터감자
오늘도 내 하루는
버터감자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9)
    • 🏃‍♀️ Do it ! (80)
      • TIL (73)
      • Project (5)
      • Certificate (2)
    • 📓 TechNote (52)
      • RPA (1)
      • Python (2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Spring (11)
      • SQL (7)
      • Git & GitHub (6)
      • CS (0)
      • HTML & CSS & JavaScript (2)
      • Tools (9)
      • API (1)
    • 🔔 Error (7)
      • Error (7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이클립스
  • 만들기
  • 데이터베이스
  • 세션
  • 이것이자바다
  • 안드로이드
  • 버블소트
  • 기본쿼리
  • 배열
  • callback
  • 홈페이지
  • 스택
  • 코틀린
  • 포트폴리오
  • SQL
  • 게시판
  • 톰캣
  • 스프링
  • sqld
  • dml
  • final필드
  • 오라클
  • foreach
  • opacity
  • 객체지향
  • 변수
  • 문제풀이
  • 함수
  • 부트스트랩
  • 큐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버터감자

오늘도 내 하루는

🏃‍♀️ Do it !/TIL

프로그램을 위한 수학

2022. 8. 1. 14:38
728x90

2022 / 7 / 28 목

 

  • 프로그램을 위한 수학

✔️ 프로그램을 위한 수학

 

function(함수)

관계 / 원인과 결과가있는 특별한 규칙이 있는 관계임, 
- 결과는 무조건 1개가 나와야 함수라고 볼수있음. 2개가 나오면 함수가 아님

- 함수는 계산식
- x 원인은 여러개 , n개가 가능하지만,  y인 결과값은 무조건 1개임.


int a
a = add(20,6)

 

=는 같다라는 뜻이아님, add(20,6)의 값을 a에 집어넣으라는 것임
(20,6)을 parameter이라함
add가 함수인것임!


       ↓원인 parameter를  add에 넣어라~
f(x) add
       ↓결과 return value가 나온다. 결과는 1개~


프로그래밍에서 사용하는 논리연산은 다음과 같다.

 

ture 와 false
t / f and t / f
t / f or t / f
t / f not = t / f 

and && 둘중에 하나만 f 라면 결과는 f 임
-> 둘다 t 여야 t 임
or || 둘중에 하나만 t라면 결과는 t임
-> 둘다 f 여야 f 임
not ! t not = f
f not = t

✖️
t를 f로 변경, f를 t로 변경하는게 toggle연산

*수칙연산의 목적은 숫자
논리연산의 목적은 t 진실인지 f 거짓인지 밝혀내는것임.

수칙연산에서 x를 먼저 계산하는것처럼
and를 먼저 계산한다. and에 (  )를 써서 읽기 쉽게 작성해야함.  

연산자 op-code // operation code
피연산자 operand 

op code(명령어)가 여러개인걸 instruction set이라함.

내가 어떤 함수를 만들면
함수는 여러개이겠지만,  instruction set는 한개이다. 



Expression
- 1+1 이라는 문장을 썼는데 2라는 결과값이 나오는것, 값이 출력되는것

Statement
어떠한 문장을 썼는데 값이 출력되지 않는것, 값이라 표현하기 애매한것은 undifined라고 나옴.
Expression의 집합이 statement라 볼수있음

'🏃‍♀️ Do it !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atatype / 배열  (0) 2022.08.01
자바스크립트  (0) 2022.08.01
통신프로토콜  (0) 2022.08.01
정보통신  (0) 2022.08.01
Html5 / Interface / 이진법 / CSS  (0) 2022.08.01
    '🏃‍♀️ Do it !/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Datatype / 배열
    • 자바스크립트
    • 통신프로토콜
    • 정보통신
    버터감자
    버터감자
    🌱 새싹 개발자의 코딩 블로그 🌱

    티스토리툴바